중등1 | 교복 지원 |
---|---|
사업내용 | 「경기도 학교 교복 지원 조례」(2018.12.2.공포)에 의거 학생 간 교육 격차해소로 평등한 교육환경을 조성하고자 중·고등학교 신입생 교복 지원 |
지원내용 및 지원시기 |
|
지원대상 | 중·고등학교 신입생 및 1학년 타 시·도 전입생, 타 시·군(도내) 전입생 |
지원인원 | 중학생130,797명, 고등학생 124,091명 총 254,888명 |
신청방법 및 신청기간 |
|
문의처 | 학부모시민협력과 박종승 ☎(031) 249-0266 / 정구현 ☎(031) 249-0263 |
중등2 | 방과후학교 자유수강권 지원 |
---|---|
사업내용 | 저소득층 학생의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참여를 위한 방과후학교 프로그램비 지원 |
지원내용 및 지원시기 |
|
지원대상 | 기초생활수급자, 한부모가족보호대상자, 법정차상위대상자,난민인정자, 세월호침몰사고 관련 피해자, 탈북학생, 중위소득 70%이하 자녀, 저소득층 다문화가정 학생 |
지원인원 | 지원기준에 해당되는 학생 전원 |
신청방법 및 신청기간 |
|
문의처 | 방과후교육과 이송아 ☎(031) 820-0905 |
중등3 | 인터넷통신비 지원 |
---|---|
사업내용 | 저소득층 학생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인터넷통신비 지원 |
지원금액 |
인터넷통신비 월 17,600원, 유해차단서비스 월1,650원 (교육청에서 인터넷통신사에 요금 납부) |
지원대상 | 기초생활수급자, 한부모가족보호대상자, 난민인정자 |
지원인원 | 지원기준에 해당되는 학생 가구당 1명(형제·자매중 최연소 학생 지원) |
지원방법 | 소득·재산조사 후 기준에 따라 지원 대상자 선정(6월) |
신청방법 및 신청기간 |
|
문의처 | 교육복지기획과 김시훈 ☎(031) 820-0553 |
중등4 | 저소득층 학생 PC 지원 |
---|---|
사업내용 | 저소득층 학생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PC 지원 |
지원내용 | PC(노트북)를 대상학생 가정으로 직접 지원(예산편성액 1대당 119만원) |
지원대상 | 초1~고1 생계·의료수급자, 난민인정자 |
지원인원 | 지원기준에 해당되는 학생 가구당 1명 선정(예산범위 내) |
지원방법 | 소득·재산조사 후 기준에 따라 지원 대상자 선정 |
신청방법 및 신청기간 |
|
문의처 | 교육복지기획과 김시훈 ☎(031) 820-0553 |
중등5 | 교육급여 지원 |
---|---|
사업내용 | 교육기회 보장을 위해 저소득층 학생에게 교육활동지원비 지원 |
지원내용 | 연1회 466,000원 학부모 수급계좌로 지급 |
지원대상 | 기준 중위소득 50%이하(기초생활수급자) |
지원기준 | 소득·재산조사 후 기준에 따라 지원 대상자 선정 |
신청방법 및 신청기간 |
|
문의처 | 교육복지기획과 김시훈 ☎ (031) 820-0553 |
중등6 | 숙박형 현장체험학습비 지원 |
---|---|
사업내용 | 저소득층 학생의 주제별체험학습비 및 수련활동비를 지원함으로써 소외감 없이 학교교육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 제공 |
지원내용 및 지원시기 |
|
지원대상 | 기초생활수급자 중 신청자 |
지원인원 | 약 3,277명(2019년 기준 지원인원, 2020년 코로나로 현장체험학습 미실시) |
신청방법 및
신청기간 |
|
문의처 | 융합교육정책과 김현량 ☎(031) 820-0792 |
중등7 | 자살시도 및 정신건강 고위험군 학생 치료비 지원 |
---|---|
사업내용 | 자살 및 자해 시도 학생에 대한 의료비 지원을 통해 정신건강문제 해결 및 자살예방 및 재발방지 사업 |
지원내용 | 병의원 의료비 1인당 6백만원(정신과/신체상해 치료비 각3백만원한도)으로 예산범위 내 지원 |
지원대상 | 초·중·고 학생 중 자살(자해)시도 또는 정신건강 고위험군 학생 |
지원기준 | 자살을 시도한 학생, 자살시도 이력 학생, 전년도 지원 대상자 중 지속적 치료를 요하는 학생, 기타 정신건강 고위험군 학생 등 |
신청방법 | 사안 발생 일 기준 2개월 이내 학교에서 신청 |
문의처 | 학생생활교육과 송승운 ☎ (031) 249-0866 |
중등8 | 중도입국자녀 한국어교실 운영 |
---|---|
사업내용 | 다문화가정 학생의 맞춤형 언어 교육을 통한 의사소통 능력 신장 |
지원내용 및 지원시기 |
|
지원대상 | 경기도 관내 초・중・고등학교 재학생으로서 한국어와 기초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다문화가정자녀 |
지원강사 | 2022년 상반기 강사 190여명, 하반기 강사 50여명 지원 예정 |
지원기준 | 다문화가정 학생 수, 지원대상자 특성과 지원 방안 고려하여 선정 |
신청방법 및
신청기간 |
교육청에서 학교에 신청 안내 공문 발송(상반기 4월, 하반기 8월경)⇒ 희망하는 학교에서 신청하고 교육청에서는 지원교 선정⇒ 선정된 학교에서 사업추진 |
문의처 | 민주시민교육과 전세화 ☎(031) 249-0453 |
중등9 | 학기중 토·공휴일 급식비 지원 |
---|---|
사업내용 | 소외계층에 대한 교육복지 증진을 위해 결식이 우려되는 저소득층 학생에게 학기중(방학중 제외) 토·공휴일 급식비를 지원하는 사업 |
지원내용 및 지원시기 |
|
지원대상 | 결식우려가 있는 18세미만 취학아동으로 지원대상자의 소득 및 가정환경 조사결과를 통해 지자체에서 선정 |
지원인원 | 약 20,702명(지자체 지원계획에 의함) |
신청방법 및
신청기간 |
주소지기준 읍·면·동 주민센터에 신청하며 지자체 지원계획에 의함 |
문의처 | 학교급식협력과 이일수 ☎(031) 249-0592 |
중등10 | 복권기금 꿈사다리 장학금 |
---|---|
사업내용 | 복권기금을 재원으로 저소득층 우수 중·고생을 발굴, 대학까지 연계지원함으로써 교육의 희망사다리 기능 강화 |
지원내용 |
|
지원대상 |
|
지원기준 |
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 참조 바로가기 |
지원인원 |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 참조 바로가기 |
신청방법 |
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 참조 바로가기 |
문의처 | 한국장학재단 콜센터 ☎(031) 1599-2000 |
중등11 | 여성청소년 보건위생물품(생리대) 지원 |
---|---|
사업내용 |
|
지원내용 |
|
지원대상 |
|
지원기준 |
|
신청방법 |
|
문의처 |
|
담당자 | 담당부서 | 전화번호 |
---|---|---|
손지원 | 교육복지기획담당 | 031-820-0842 |